풍석 서유구의 가계

서유구 가계도

고조부 : 서문유(徐文裕)
증조부 : 서종옥(徐宗玉)
종조부 : 서명익(徐命翼)
아버지 : 서호수(徐浩修) – 생부 서명응(徐命膺)의 장남, 종조부 서명익(徐命翼)에게 양자로 출계
어머니 : 김덕균(金德均)의 딸
형님 : 서유본(徐有本)
조카 : 윤치대(尹致大)에게 출가

동생 : 서유락(徐有樂)
동생 : 서유비(徐有棐)

종조부 : 서명성(徐命誠)
숙부 : 서형수(徐瀅修) – 생부 서명응(徐命膺)의 차남, 종조부 서명성(徐命誠)에게 양자로 출계

조부 : 서명응(徐命膺)
조모 : 이정섭(李廷燮)의 딸
숙부 : 서낙수(徐樂修)
숙부 : 서책수(徐策修)
숙부 : 서채수(徐采修)
양부 : 서철수(徐澈修) – 양부이자 숙부
숙부 : 서유수(徐柔修)


서종옥서종옥 [ 徐宗玉 ] 1688(숙종 14)∼1745(영조 2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 자 온숙(溫叔), 호 인재(?齋), 학서(鶴西), 시호 문민(文敏)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온숙(溫叔), 호는 인재(?齋) 또는 학서(鶴西). 제조 경주(景?)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리(貞履)이고, 아버지는 예조판서 문유(文裕)이며, 어머니는 이상연(李尙淵)의 딸이다.

1725년(영조 1)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728년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을 제수받은 뒤 이조좌랑·경연검토관·대사성·세자시강원보덕(世子侍講院輔德)·황해도관찰사 등을 역임하고, 1733년 이조참의가 되어 당시 정치의 폐단 10개조를 들어 시정할 것을 상소하였다.

즉, 국가운영의 원칙을 세우고, 기강을 바로잡으며, 어진 이를 등용하고, 정직한 관리를 표창하며, 인재를 뽑아 쓰고, 불쌍한 백성들을 구제하며, 국방에 힘쓰고, 재정을 잘 관리하여 쓸데없는 낭비를 줄일 것을 역설하였다.

그 뒤 병조참지·전라도관찰사·대사간·함경도관찰사·대사헌 등을 거쳐 1739년에는 진위겸사은부사(陳慰兼謝恩副使)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1740년 평안도관찰사, 다음해 예조·이조판서, 우참찬이 되었고 1742년에는 사정당상(査正堂上)이 되어 훈신(勳臣)의 후손은 9대까지 군역을 면제할 것을 결정하였다.

1745년 호조판서 재임중에 죽었다. 영조는 그의 죽음을 애도하고 충후관대(忠厚寬大 : 충성스럽고 후덕하면서 관대함)한 인물이라 평하고, 무신란을 예견한 선견지명에 탄복하였다. 1748년 문민(文敏)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서종옥 [徐宗玉]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서명응서명응[ 徐命膺 ] 1716(숙종 42)∼1787(정조 1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 자 군수(君受), 호 보만재(保晩齋), 시호 문정(文靖)
본관은 달성(達成). 자는 군수(君受). 보만재(保晩齋)라는 호를 정조로부터 내려 받았다. 판서 성(渻)의 5세손이고, 남원부사 정리(貞履)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참찬 문유(文裕)이고, 아버지는 이조판서 종옥(宗玉)이며, 어머니는 이집(李㙫)의 딸이다. 영의정 명선(命善)의 형이다.

1754년(영조 30)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부제학(副提學)·이조판서를 거친 뒤, 청나라 연경(燕京)에 사행하여 다녀왔다. 그 뒤 대제학을 거쳐 상신(相臣 : 정승)에 오르고 봉조하(奉朝賀)에 이르렀다. 박학강기(博學强記)로 이름났으며 역학(易學)에도 조예가 깊었다.

정조가 동궁에 있을 때 빈객(賓客)으로 초치되어 학문 수련에 큰 도움을 주었다. 정조 즉위 직후 규장각이 세워졌을 때 제학(提學)에 첫번째로 임명되었으며, 죽을 때까지 규장각 운영에 절대적인 찬획(贊劃 : 영향)을 끼쳤다.

흔히 북학파(北學派)의 비조(鼻祖)로 일컬어지며, 이용후생(利用厚生)을 추구하는 그의 학문 정신은 아들 호수(浩修), 손자 유구(有榘)에로 이어져 가학(家學)의 전통이 세워지기도 하였다.

『역학계몽집전(易學啓蒙集箋)』·『황극일원도(皇極一元圖)』·『계몽도설(啓蒙圖說)』등의 역서류,『열성지장통기(列聖誌狀通記)』·『기사경회력(耆社慶會曆)』·『기자외기(箕子外紀)』·『대구서씨세보(大丘徐氏世譜)』·『양한사명(兩漢詞命)』 등의 사서류,『고사신서(攷事新書)』의 유서(類書) 등을 편찬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하고, 저술로는『보만재집』· 『보만재총서(保晩齋叢書)』·『보만재잉간(保晩齋剩簡)』 등을 남겼다.

이 저술들은 사후에 호수와 유구 등에 의해 정리된 것인데, 보만재총서는 정조로부터 “우리 동쪽에서 400년 간에 이런 거편(鉅篇)이 없었다.”는 평을 받았으며,『보만재잉간』은 총서를 편집하고 남은 것을 따로 모은 것이다. 『보만재총서』는 일종의 유서로서『고사신서』와 함께 그의 농업을 중심으로 한 이용후생의 학문 정신을 대표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서명응 [徐命膺]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서명선초상화
서명선[徐命善]
이칭별칭 : 자 계중(繼仲), 호 귀천(歸泉), 동원(桐源), 시호 충헌(忠憲)

1753년(영조 29) 생원이 되고, 1763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곧 홍문관부교리(弘文館副校理)에 처음으로 제수되고, 다음날 왕의 특명에 의해서 교리가 되었다. 1764년 홍문관 관원들이 올린 소로 왕의 노여움을 사서 홍낙명(洪樂命) 등 8인과 함께 갑산부에 일시 유배되었다.

그러나 곧 재기용되어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사간원헌납(司諫院獻納), 부교리·풍산만호(豊山萬戶)·홍문관응교(弘文館應敎) 등을 역임하였다. 1767년 지제교(知製敎)의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에서 우등해 말을 하사받았고, 중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기도 하였다. 이 후 부교리·승지를 거쳐 1769년 강원도관찰사가 되었으나 삼촌이 피체되자 연루되어 체직당하였다. 이어서 이조참의·대사성·대사헌·승지·부제학을 역임하고 이조참판이 되었다.

1775년 일시 한직에 밀려났으나 세손의 대리청정을 반대하는 홍인한(洪麟漢) 일파를 탄핵, 세손의 대리청정을 시행할 수 있도록 크게 노력하였다. 이 때의 공으로 세손에 의해 발탁되어 예조판서·병조판서·이조판서 등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정조가 즉위하자 더욱 중용되어 수어사(守禦使)·총융사(摠戎使)를 겸임해 군사권까지 장악했고, 우참찬·판돈녕부사를 거쳐 1777년(정조 1) 우의정, 다음해 좌의정, 그 다음 해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1780년 일시 한직에 물러났다가 곧 좌의정·영의정을 역임하였다. 1783년 판중추부사가 되었고, 1791년 영중추부사로 죽었다.

그는 영조대 중반까지는 은인 자중해 크게 현달하지 못했으나, 영조 말년에는 세손의 대리청정을 위해 진력을 한 결과 정조에 의해 중용되었다. 처음 시호는 충헌(忠憲)이었으나, 정조가 뒤에 충문(忠文)으로 바꾸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명선 [徐命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서호수[ 徐浩修 ] 1736(영조 12)∼1799(정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실학자.
이칭별칭 : 자 양직(養直), 시호 정헌(靖憲)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양직(養直). 우참찬 문유(文裕)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호조판서 종옥(宗玉)이고, 아버지는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명응(命膺)이다.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정섭(廷燮)의 딸이다. 큰 아버지 명익(命翼)에게 입양되었다.

1756년(영조 32) 생원(生員)이 되고, 1764년 칠석제(七夕製)에 장원했으며 이어 다음 해 식년문과에 다시 장원하였다. 곧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에 초임되었으나 언사(言事)로 남해에 유배되었다가 1766년 홍문관부교리(弘文館副校理)에 특채되어 벼슬을 시작하였다.

1770년에는 영의정 홍봉한(洪鳳漢)과 함께 ≪동국문헌비고 東國文獻備考≫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776년 정조가 즉위하자 도승지(都承旨)에 임명되어 왕의 측근이 되었다. 이 해에 진하 겸 사은부사(進賀兼謝恩副使)로 정사(正使) 이은(李溵), 서장관(書狀官) 오대익(吳大益)과 함께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대사성·대사헌 등 청관직(淸官職)을 거쳐 당대 문화사업의 핵심 기관이었던 규장각의 직제학이 되었다. 이후 규장각의 여러 편찬사업에 주도적 역할을 다하였다.

≪어정송사전 御定宋史筌≫을 교열하고, 1781년에는 ≪규장총목 奎章總目≫ 4권 3책을 책임 편찬했으며, ≪국조보감 國朝寶鑑≫에서 봉모당(奉謨堂)에 봉안할 어제(御製 : 왕이 지은 글)를 고출(考出 : 자세히 살핌)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또한 정조의 문집인 ≪홍재전서 弘齋全書≫의 기초가 된 ≪어제춘저록 御製春邸錄≫의 간행을 주관하였다. 그는 규장각에 원임직제학(原任直提學)의 직함으로 간여하면서 이조·형조·병조·예조 등의 판서를 두루 역임하였다.

남인(南人)으로 우의정의 자리에 있던 채제공(蔡濟恭)과 소론(少論)의 명문이었던 그의 집안과의 갈등으로 일시 휴직했다가 1790년(정조 14)에 다시 진하 겸 사은부사로 두 번째 청나라에 사행(使行)하였다.

이 사행은 청나라 건륭제(乾隆帝)의 팔순(八旬)을 기념하는 만수절(萬壽節)을 축하하는 것이었다. 이 때의 여행일기가 ≪연행기 燕行紀≫ 4권 2책이다.

다음해 관상감의 제조(提調)가 되어 인조 때 김육(金堉)이 주장한 바 있는 시헌력(時憲曆)의 사용을 위해 청나라에 가는 사신에게 이에 소용되는 의기(儀器)를 구입할 것을 주장했으나 실현되지 못하였다. 1795년 삼상(三相)의 후보에 올랐으나 이루지 못했고, 다시 1798년 우의정의 물망에 올랐으나 역시 좌절되었다.

끝내 삼상의 자리에는 오르지 못하고 이조판서에 그쳤지만, 정조 동궁시의 빈료(賓僚)로서 정조의 즉위에 공로를 세운 서명응의 아들로 가학(家學)을 계승, 북학파의 학자로 규장각의 각종 편찬사업에 중추적 역할을 다하였다.

더욱이 두 차례의 연행(燕行)을 통해 서적 수입 등 청문화의 도입이라는 정조의 내밀한 임무 부여를 충실히 수행하였다.

위에서 언급한 제2차 여행 때의 일기인 ≪연행기≫에 따르면, ≪십삼경주소 十三經註疏≫·≪주역절중 周易折中≫·≪시서휘찬 詩書彙纂≫·≪대청회전 大淸會典≫·≪성경통지 盛京通志≫ 등은 구매했으나 ≪황청해국방략 皇淸海國方略≫은 구하지 못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의 둘째아들인 유구(有榘)는 사촌 철수(澈修)에게 출계(出繼)했으나 가학을 계승, 다음 시대 북학자로 활약하면서 많은 업적을 쌓았다.

시호는 문민(文敏)으로 “민첩하며 배우기를 좋아했으니 문(文)이요, 일에 대승하여 공이 있으니 민(敏)이라 하였다.” 그러나 뒤에 할아버지 종옥과 같다 하여 정헌(靖憲)으로 개칭되었다. 묘지명은 아우인 영수(詠修)가 짓고 아들 유본(有本)이 추기(追記)하였다. 저서로 ≪연행기≫가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서호수 [徐浩修]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서형수[ 徐瀅修 ]
이칭별칭 : 자 유청(幼淸), 호 명고(明皐)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유청(幼淸, 혹은 汝琳), 호는 명고(明皐). 우참찬 문유(文裕)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호조판서 종옥(宗玉)이고, 아버지는 대제학 명응(命膺)이며, 어머니는 영의정 조현명(趙顯命)의 딸이다. 숙부인 명성(命誠)에게 입양되었다.

음보로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이 되었고, 1783년(정조 7)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광주목사와 영변부사를 지내고 1799년 진하 겸 사은부사가 되어 정사 조상진(趙尙鎭)과 더불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1804년(순조 4) 이조참판을 거쳐 이듬해 경기관찰사가 되었다. 1806년 벽파(僻派)계열인 우의정 김달순(金達淳) 등이 안동김씨 계열인 김조순(金祖淳) 등에 밀려 사사될 때, 이에 연루되어 전라도 흥양현(興陽縣) 등지에서 18년 동안 유배생활을 하였다. 1823년 전라도 임피현(臨陂縣)으로 양이(量移)되어 이듬해 그곳에서 죽었다.

저서로는『명고전집』이 전한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서형수 [徐瀅修]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